청주 KB 스타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KB 스타즈는 1963년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으로 창단된 여자 프로농구단이다. 1997년 한국여자프로농구(WKBL) 출범과 함께 프로화되었으며, 2011년 청주시를 연고지로 하여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W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2번, WKBL 정규리그에서 5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8-2019 시즌에는 정규리그와 챔피언 결정전을 모두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KB 스타즈 - 청주체육관
- 한국여자프로농구 선수단에 관한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한국여자프로농구 선수단에 관한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은 1958년 창단하여 WKBL에서 13번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과 14번의 정규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연고지를 아산시로 이전했다.
청주 KB 스타즈 | |
---|---|
기본 정보 | |
![]() | |
구단 이름 | 청주 KB 스타즈 |
리그 | 한국여자프로농구 |
창단 | 1963년 |
역사 | 서울 국민은행 여자농구단 (1963년–2000년) 서울 국민은행 세이버스 (2000년) 성남 국민은행 세이버스 (2000년–2002년) 서울 KB 세이버스 (2002년–2011년) 청주 KB 스타즈 (2011년–현재) |
경기장 | KB스타즈 챔피언스파크 |
수용 인원 | 8,000명 |
좌석 | 4,180석 |
연고지 | 충청북도 청주시 |
색상 | 노랑 회색 |
모기업 | KB금융그룹 |
스폰서 | KB국민은행 |
구단주 | 이재근 |
단장 | 김진영 |
감독 | 김완수 |
주장 | 염윤아 |
웹사이트 | www.kbstars.co.kr |
리그 우승 | 2 한국 리그 |
영구 결번 | 10 23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상의 색상 | F8B500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whitesides |
홈 유니폼 하의 색상 | F8B500 |
홈 유니폼 하의 패턴 | _whitesides |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 | 7C7366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_whitesides |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 | 7C7366 |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 | _whitesides |
2. 역사
1963년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으로 창단한 KB 스타즈는 농구대잔치에 참가하며 한국 여자 농구의 역사와 함께 성장했다. 1997년 한국여자농구연맹 출범과 함께 프로화되었으며, 1998년부터 한국여자프로농구에 참가하고 있다.
프로화 이후 2011년까지 성남시, 천안시를 거쳐 2011년 1월 12일 청주시와 연고지 협약을 맺고 2월 20일부터 청주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청주 시대를 열었다. 2011년 10월 4일 구단 명칭을 '청주 KB 스타즈'로 확정했다.[2]
2018-2019 시즌, KB 스타즈는 정규리그 우승에 이어 W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를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3] 박지수는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MVP를 동시에 석권하며 최연소 챔피언결정전 MVP로 기록되었다.[4]
2. 1. 실업 농구단 시대 (1963~1998)
1963년 5월,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이 창단되었다.[5]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은 당시 실업농구대회였던 농구대잔치에 참가하였다.연도 | 대회 |
---|---|
1984-85 | 농구대잔치 우승 |
1986-87 | 농구대잔치 준우승 |
1989-90 | 농구대잔치 우승[5] |
1990-91 | 농구대잔치 준우승 |
1991-92 | 농구대잔치 준우승 |
1993-94 | 농구대잔치 정규리그 및 플레이오프 우승 |
1995-96 | 농구대잔치 정규리그 우승 |
1996-97 | 농구대잔치 정규리그 우승 및 플레이오프 준우승 |
2. 2. 프로 농구단 시대 (1998~현재)
1998년 한국여자농구연맹(WKBL) 출범과 함께 프로화되었다.2000년 12월, 팀명을 '''국민은행 세이버스 여자농구단'''으로 변경하였다.[2] 2001년 5월에는 연고지를 경기도 성남시로 정했다가,[2] 같은 해 12월에 충청남도 천안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연습 체육관 및 숙소도 천안 연수원으로 옮겼다.[2]
2011년 1월 12일 청주시와 연고지 협약을 맺고, 2월 20일부터 청주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면서 청주 시대를 맞이하였다.[2] 같은 해 10월 4일에는 구단의 새로운 공식 명칭을 '청주 KB 스타즈'로 확정하였다.[2]
2019년 3월 21일부터 3월 25일까지 열린 W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며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3] 박지수는 WKBL 역사상 6번째로 정규리그 MVP와 챔피언결정전 MVP를 모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으며, 최연소 챔피언결정전 MVP 수상자로 기록되었다.[4]
시즌 | 정규리그 | 챔피언결정전 | 비고 |
---|---|---|---|
2002 | 우승 | 준우승 | |
2006 | 우승 | 준우승 | |
2018-2019 | 우승 | 우승 | 창단 첫 통합 우승, 박지수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MVP |
2021-2022 | 우승 |
2. 2. 1. 프로화 초창기 (1998~2001)
KB 스타즈는 프로화 초기 몇 년 동안 여러 리그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기록했다. 1998년 8월 라피도배 여름리그에서는 정규리그 5위를 기록했고, 1998년 12월에는 연습 체육관 및 숙소를 부천 한국화장품으로 이전했다.[1] 1999년 2월 한빛은행배 겨울리그에서는 정규리그 3위를 기록하며 성적이 향상되었으나, 1999년 8월 한빛은행배 여름리그에서는 정규리그 4위로 다시 하락했다.[1] 2000년 1월 한빛은행배 겨울리그에서는 정규리그 5위를 기록했고, 2000년 7월 바이코리아 여름리그에서는 정규리그 4위를 기록했다.[1]대회명 | 리그 | 순위 |
---|---|---|
라피도배 1998 여름리그 | 정규리그 | 5위 |
한빛은행배 1999 겨울리그 | 정규리그 | 3위 |
한빛은행배 1999 여름리그 | 정규리그 | 4위 |
한빛은행배 2000 겨울리그 | 정규리그 | 5위 |
바이코리아 2000 여름리그 | 정규리그 | 4위 |
2. 2. 2. 세이버스 시절 (2001~2011)
2000년 12월, 팀명을 '''국민은행 세이버스 여자농구단'''으로 변경하였다.[2] 2001년 5월에는 연고지를 경기도 성남시로 정했다가,[2] 같은 해 12월에 충청남도 천안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연습 체육관 및 숙소도 천안 연수원으로 옮겼다.[2]2002년 2월 20일, 2002 겨울 한국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를 상대로 94–76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2] 그러나 2002년 3월 13일에 열린 2002 겨울 WKBL 챔피언결정전에서는 광주 신세계 쿨캣에게 2승 3패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2] 그해 12월에는 구단명을 '''KB 세이버스 여자프로농구단'''으로 변경하였다.[2]
이후 2006년 7월 5일, 2006 여름 한국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구리 금호생명 팰컨스를 74-6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2] 하지만 2006년 7월 27일 2006 여름 WKBL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에게 2승 3패로 아쉽게 준우승하였다.[2]
KB 세이버스는 2004년 겨울리그 준우승, 2005년 겨울리그 4위, 2005년 여름리그 준우승, 2006년 겨울리그 5위, 2007-2008 시즌 4위, 2009-2010 시즌 3위를 기록하였다.
2. 2. 3. 청주 시대 (2011~현재)
2011년 1월 12일 청주시와 연고지 협약을 맺고, 2월 20일부터 청주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면서 청주 시대를 맞이하였다.[2] 같은 해 10월 4일에는 구단의 새로운 공식 명칭을 '청주 KB 스타즈'로 확정하였다.[2]청주 KB 스타즈는 연고지 이전 이후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1-2012 시즌 정규리그 3위를 시작으로, 2012년과 2015년에는 WKBL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2016년에는 2016 박신자컵 서머리그에서 우승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18-2019 시즌은 KB 스타즈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해였다.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한 데 이어, 2019년 3월 21일부터 3월 25일까지 열린 W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며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3] 특히, 팀의 핵심 선수인 박지수는 WKBL 역사상 6번째로 정규리그 MVP와 챔피언결정전 MVP를 모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으며, 최연소 챔피언결정전 MVP 수상자로 기록되었다.[4]
이후에도 KB 스타즈는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2019-2020 시즌과 2020-2021 시즌에는 정규리그 준우승을 차지했고, 2021년에는 2021 박신자컵 서머리그에서 다시 한번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21-2022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청주 왕조' 시대를 이어갔다.
다음은 청주 시대의 주요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시즌 | 정규리그 | 챔피언결정전 | 비고 |
---|---|---|---|
2011-2012 | 3위 | 준우승 | |
2012-2013 | 4위 | ||
2013-2014 | 3위 | ||
2014-2015 | 3위 | 준우승 | 2015 박신자컵 서머리그 준우승 |
2015-2016 | 3위 | 2016 박신자컵 서머리그 우승, 변연하 선수 은퇴 (10번 영구 결번) | |
2016-2017 | 3위 | ||
2017-2018 | 준우승 | 준우승 | 2017 박신자컵 서머리그, 2018 박신자컵 서머리그 준우승 |
2018-2019 | 우승 | 우승 | 창단 첫 통합 우승, 박지수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MVP |
2019-2020 | 준우승 | 코로나19로 인한 리그 조기 종료 | |
2020-2021 | 준우승 | 준우승 | 2021 박신자컵 서머리그 우승 |
2021-2022 | 우승 |
정덕화
3. 역대 시즌
2009-10 40 21 19 0.525 3위 미시행 패패패 - 3위 정덕화 2010-11 35 12 23 0.343 5위 - - - - 2011-12 40 23 17 0.575 3위 미시행 승승패승 패패패 준우승 2012-13 35 14 21 0.400 4위 패패 - - 4위 2013-14 35 20 15 0.571 3위 미시행 패패 - 3위 서동철 2014-15 35 20 15 0.571 3위 미시행 승승 승패패패 준우승 2015-16 준우승 35 19 16 0.543 3위 미시행 부전승 부전패 준우승 2016-17 우승 35 14 21 0.400 3위 미시행 패패 - 3위 안덕수 2017-18 준우승 35 27 8 0.771 2위 미시행 승패승 패패패 준우승 2018-19 준우승 35 28 7 0.800 1위 미시행 부전승 승승승 우승 2019-20 3위 28 20 8 0.714 2위 코로나19로 인한 리그 종료 및 포스트시즌 미개최 2020-21 4위 30 21 9 0.700 2위 미시행 승승 패패승승패 준우승 2021-22 우승 30 25 5 0.833 1위 미시행 승승 승승승 우승 김완수 2022-23 3위 30 10 20 0.333 5위 - - - -